※이더리움(Ethereum)이란?
여기서 말하는 이더리움(Ethereum)은 가상화폐 유명 상표의 이더(ETH)가 아니라 플랫폼의 이더리움을 말한다.
Ethereum은 인터넷상의 자동 판매기와 같은 스마트 계약이라는 매우 편리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블록체인에서 프로그램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구사한 블록체인 게임 등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더리움(Ethereum)의 가스 요금이란?
이더리움(Ethereum)의 가스비는 송금 수수료를 말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거래에 대해 얼마나 많은 계산 단계가 필요한지 측정하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가상화폐를 송금하는 경우,
그 거래에 필요한 데이터 계산처리(마이닝)를 해주는 사람(마이너)에게 지불하는 수수료가 발생한다.
이더리움은 이 수수료 외에도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때에도 수수료가 필요하다.
이 두 수수료를 합한 총 수수료가 이더리움의 가스비가 된다.
가스는 그 단위의 지표로, 가스비는 그 거래가 실행·승인받기 위한 수수료이다.
이 가스 요금은 사용자가 한도를 설정할 수 있지만 너무 낮게 설정하면 언제까지고 거래가 승인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가스비(수수료)의 필요성
이더리움이 가스비를 필요로 하기 위해서는 마이너에게 지불하는 수수료와는 다른 의미에서도 필수일 수 밖에 없다.
그것은 네트워크의 과도한 부하를 줄이는 중요한 역할이 있기 때문이다.
이더리움의 가상 통화(이더=ETH)는 비트코인 다음으로 인기 있는 가상 통화다.
그러나 전세계 이더리움 플랫폼을 이용한 거래가 늘어나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려 송금하는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 과부하 커트라인을 넘지 않도록 가스 요금이라는 수수료를 부과하여 컨트롤하고 있는 것이다.
전세계에서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때, 마이닝을 하는 마이너의 작업이 따라가지 못할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높은 가스 요금을 설정할 때 마이너는 높은 가스 요금 (마이너에게 보상) 거래에서 우선적으로 승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마이너의 노동 단가를 높여 네트워크에 과도한 부담을 끼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가스 요금이 중요한 것이다.
또한,가스 요금 설정으로 보안이 높아지게 된다.
가스 요금을 설정하면 결과적으로 보안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더리움은 과거에 Dos 공격 등의 사이버 공격을 당한 적이 있다. 그것에 대응하는 수단으로서도 가스 요금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Dos 공격이란… 네트워크나 서버에 필요 이상의 부담을 끼치거나, 보안 취약성을 찌르는 행위를 말한다.
이더리움 가스 요금은 모든 거래에서 발생한다. Dos 공격 등의 사이버 공격을 하는 사람도 가스 요금은 지불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사이버 공격을 실시하는 동기 부여를 어느 정도는 빼앗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더리움은 지난 몇 번의 업데이트로 가스 요금의 평균 가격도 변동하고 있다.
이것 또한 간접적으로 Dos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이더리움 가스비(수수료)의 계산방법
이더리움은 가스의 단가(Gwei)와 리미트(Gas limit)를 곱해 공식적인 가스비가 된다.
이 경우의 가스비는 최대치로 실제로 소비한 가스비를 뺀 나머지가 있으면 환불된다.
실제로 1ETH를 송금했을 때의 가스비 계산 방법을 살펴보자.
- 먼저 한계(Gas limit)를 설정한다. 이 한계까지 가스를 소비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동으로 표시되고 있는 수치로 대부분은 문제 없다고 할 수 있다. 거래의 복잡성에 따라 Gas 소비량이 결정된다.
- 송금이 마이너에 의해 승인되면 블록 체인의 블록 생성시 가스를 소비한다.
- 소비한 가스는 마이닝 수수료로서 마이너에게 전액 지불된다.
- 한계에서 실제 가스 소비량을 뺀 나머지가 있으면 환불된다.
계산식) 리미트(Gas limit)×가스 단가(Gwei)-실제로 사용한 가스=실제로 지불하는 가스비(ETH)
이더리움의 거래 실행 전에는 「ETH Gas Station」(이더 가스 스테이션)에 액세스하면 그 시점의 네트워크 혼잡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가스 요금의 기준을 알 수 있다.
가스(Gas) 단위
가스(Gas)의 단위는 이더리움(ETH) 표기라고 매우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스의 단위에는 'wei'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wei는 ETH의 가장 작은 단위를 말한다.
단위 | ETH |
wei(작은) | 0.00000000000000001 |
kwei | 0.000000000000001 |
mwei | 0.000000000001 |
gwei | 0.000000001 |
szabo | 0.000001 |
finney | 0.001 |
ether | 1 |
kether | 1,000 |
mether | 1,000,000 |
gether | 1,000,000,000 |
tether(큰) | 1,000,000,000,000 |
◆거래와 가스 요금의 관계
가스 요금을 높게 설정하면 대기 시간이 짧아진다.
마이닝을 하는 마이너는 가스비(수수료)가 높은 거래를 우선적으로 처리한다.
그러므로 가스 요금을 높이면 대기 시간이 짧아지고 평소보다 빨리 승인된다.
예) 경매에서 타인보다 빨리 낙찰하고 싶은 경우, 통상보다 조금 높은 가스세를 설정함으로써 다른 플레이어보다 빨리 거래를 승인받을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가 혼잡한 시간대에는 그러지 못한 경우도 있다.
단시간에 대량의 거래가 전세계이면 거래를 승인하는 마이너의 승인을 따라가지 못할 수 있다.
마이너는 가스 요금(수수료)이 높은 거래를 우선적으로 승인하기 때문에, 혼잡 시에는 가스 요금을 높게 설정하지 않으면 승인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혼잡하지 않은 시간대를 노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가스 요금은 연료와 같은 것
자동차도 가솔린이 많이 들어있으면 그만큼 멀리까지 갈 수 있다. 이더리움의 가스 요금도 같은 맥락으로,
가스 리미트(UNITS)를 높게 설정해 두면 우선적으로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가스비 설정을 너무 적게 하게 되면,
영원히 거래 자체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가스 리미트를 너무 올린 경우에도 실제로 사용한 UNITS만 지불하고 나머지 UNITS는 환불해주는 구조도 있다.
※가스 요금 = 너무 적으면 거래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음을 기억하자.
가스 요금은 가솔린 가격과 동일한 사고 방식
가솔린에서도 레귤러 가솔린보다 가격이 높은 고급가솔린이 질이 좋다.
이더리움의 가스비도 마찬가지이며, 가스비가 높은 거래일수록 마이너는 우선해 그 거래를 승인한다.
그래서 급한 거래의 경우에는 조금 높은 가스 요금을 설정하고 빨리 승인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다만, 너무 올리게 되면 손실이 되는 경우도 있다는 점에는 주의해야 한다.
이더리움의 가스 요금을 절약하는 방법
이더리움의 가스 요금을 절약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ETH Gas Station(이더 가스 스테이션)에 액세스하고
그 시점에서 적절한 가스 요금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전 거래에 이 정도였으니 이번도 같은 정도겠지...?」라고 생각해 확인하지 않고 거래를 실행하면,
가스비가 너무 높게 설정되어 있어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다.
반드시 이더리움을 거래하는 경우, 이더 가스 스테이션에서 그 시점에서 적절한 가스 요금을 확인 하도록 하자.
또한 사용하는 지갑에 따라 초기 설정된 가스 요금이 해당 시점의 적절한 가스 요금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반드시 월렛 설정도 확인한 후 이더리움 거래를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거래가 혼잡하지 않은 시간대를 노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거래(트랜잭션)가 혼잡하고 있는지도 「ETH Gas Station」(이더 가스 스테이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론】가스비를 절약하기 위한 방법
- 송금 시 가장 저렴한 가스 요금을 선택
- 거래가 혼잡한 시간대에 송금하지 않음
- 잦은 거래보다는 정리하여 한번에 거래하는 편이 절약하는 길이다.
가스 요금이 치솟는 이유
2020년 1월에는 이더리움의 가스비는 1회의 송금에 대해 평균 약 90원정도였던 것에 비해,
2021년 5월에는 수 만원까지 급등했다. 이로 인해 매력적인 이더리움 플랫폼이 너무 높은 가스 요금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떨어져 버렸을 것이다.
왜 여기까지 이더리움의 가스 요금이 치솟아 버렸을까? 그 급등의 배경에는 마이닝을 하는 마이너가 가스비가 높은 거래를 우선적으로 승인하고 있다는 것도 하나의 요인이다. 다만, 마이너도 인간이 하고 있는 이상은 같은 작업이라면 보다 단가가 높은 일을 우선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더리움의 개발자인 비탈릭 부테린씨를 비롯한 여러 엔지니어가 새로운 시스템의 고안을 실시하고 있다. 그 외에도 이더리움의 지갑으로 유명한 '메타마스크'의 개발자인 댄 핀레이 씨도 다른 시스템을 고안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이 활발해져 가스 요금 탓으로 이더리움 이용자가 줄지 않는 방향으로 개선되길
바란다.
요약
여기까지 이더리움의 가스비와 그 적정 가격의 확인 방법, 월렛의 초기 설정을 재검토하는 것으로 가스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공부하며 느낀 것은, 「가스비=악」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더리움의 네트워크를 안정시키며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어디까지나 필요 이상으로 지불하지 않도록 그 시점에서 적절한 가스 요금을 확인할 필요가 있지만.
'칸타로의 투자쌩초보 탈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 통화】가상화폐의 분산형 거래소 DEX(덱스)란? (1) | 2022.02.09 |
---|---|
【가상 통화】분산형 금융 DeFi(디파이)란? (1) | 2022.02.08 |
MetaMask (메타 마스크) 등록,입금, 송금 방법까지! (1) | 2022.02.06 |
bybit(바이 비트) 펀딩비(fee)받는 법! (1) | 2022.02.03 |
【가상 통화】ICO, IEO, IDO, STO란? 특징, 장점,단점 쉽게 해설! (0) | 2022.01.30 |